퀴즈 풀면 비트코인 코인 재벌 육성 앱테크
  • 코퀴즈 앱스토어 다운로드
  • 코퀴즈 구글플레이 다운로드
코퀴즈 코넛

달러투자의 새로운 국룰 - 스테이블코인?💸🔁💰 > 지난 코넛 다시 보기

본문 바로가기
  • 코넛 로고
  • 검색 아이콘

달러투자의 새로운 국룰 - 스테이블코인?💸🔁💰

25.05.09 610

본문

23876_2788063_1746744110440768829.png
* 빨간 글씨엔 모두 링크가 걸려있어요!

지난 6일 이창용(아래 이총재) 한국은행 총재가 "규제 우회 가능성이 큰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이야기했어요.
이총재는 “USDT 등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우리나라 거래소에서 이미 거래되고 있다"며 외환시장 규제 우회 문제점을 지적했는데요.
23876_2788063_1746744212588161496.jpg

출처: [오늘의 짤방]


▶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스테이블 코인은 말 그대로 ‘가치가 안정적인(Stable) 코인’

하루에도 적게는 몇 퍼센트, 많게는 수십 퍼센트의 떡상, 떡락을 오가는 코인 시장에서 ‘안정적’이라니.. 뭔가 어색하게 느껴지시죠?

네, 맞아요. 스테이블 코인은 일반적 암호화폐와 다르게 특정 대상의 가격을 그대로 따라가거든요. (흔히 ‘추종한다’ 말해요) 대부분의 스테이블 코인은 USD(달러)를 따라가죠. (금융에서는 이것을 페깅(pegging)이라고도 한다능!😉)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지난 코넛 참고

🔗스테이블 코인, 계속 스테이블 할 수 있는거야?


(이번 코넛은 달러를 따라가는 스테이블 코인을 기준으로 이야기 할게요.)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위에서 돌아가는 ‘디지털 달러’예요. USDT, USDC 같은 코인이 대표적인데요. 전 세계 누구와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고, 수수료도 거의 없죠. 국내 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산다는 건 원화(KRW)로 달러를 사는 것과 같아요.

국내 투자자의 스테이블코인 보유량이 늘면 ▶ 원화 약세로 이어지고 ▶ 국내 투자 자금 유출, 물가 상승이 생길 수 있답니다.


지난 4월 국내 5대 암호화폐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스테이블코인 거래 대금은 55억 7000만 달러. 지난해 4월(32억 4,000만 달러)에 비해 71% 늘었는데요. (크립토퀀트)


어차피 원화보다 달러 가치가 높다 생각해서 투자하는 건 개인의 자유 아니냐고요?!

네, 맞아요. 하지만 은행을 통한 달러 투자에는 여러 규제가 있지만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사는 건 관련 제약이 거의 없거든요. 심지어 투자 수익이 더 커진답니다.

23876_2788063_1746744286383419141.jpg

출처: 잔망루피


혼자가 아니에요.

코넛이 있잖아요(??)



✔ 낮은 수수료

스테이블코인 달러 투자 수수료는 기존 은행 달러 투자 수수료 1/3 수준.

달러에 투자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은행에서 환율 차익을 노린 거래인데요.

달러가 약세(=원화 강세 = 환율이 낮을 때) 매수 후▶ 강세(원화 약세 = 환율이 높을 때) 파는 것.

예를 들어 1달러를 1,300원에 샀다가 1,400원에 팔면 100원의 이익을 보는 간단한 원리죠.

23876_2788063_1746744387334992397.png

주요 은행 환전 수수료 [출처]


하지만…

23876_2788063_1746744415559484301.jpg

출처: [오늘의 짤방]


이 과정에서 생기는 수수료는 평균 3.5%(매수, 매도 각각 1.75%)

시중 은행 평균 환전 우대율 90%를 적용한 실질 수수료는 0.315%

반면 스테이블코인으로 투자했을 때 수수료는 0.1%

(매수, 매도 각각 0.05% 업비트 일반 주문 기준)

23876_2788063_1746744463540439135.png

업비트 거래 수수료 [출처]


1,000만원을 투자한다고 했을 때 수수료를 비교하면 315,000원과 100,000원이 돼요. 은행 대비 꽤 큰 수수료를 아낄 수 있답니다.

23876_2788063_1746744496661712050.PNG

✔ 높은 이자 + 세금X

스테이블코인은 예치 이자도 기존 은행 대비 월등히 높은데요.

은행 파킹 통장 이자는 대부분 0.1%

23876_2788063_1746744550694680258.PNG

주요 은행 파킹통장 이자 [출처]


조건 따라 우대 금리가 붙기도 하지만 대부분 한도가 100~200만 원이에요.

반면, 대표 스테이블 코인 테터(USDT)의 예치 이자는 기본 1.7% (바이낸스 거래소 기준)

23876_2788063_1746744592352106371.png

USDT 예치 이자 [출처]


국내 거래소에서 테더를 사서 → 전 세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해외 거래소 바이낸스로 보내고 → 예치하면 은행 이자에 비해 17배 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0.1% vs 1.7%

23876_2788063_1746744620102895843.jpg

출처: [오늘의 짤방]


어디 그것뿐인가요. 중앙화 거래소가 아닌 디파이(탈중앙금융)에 넣으면 극단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을 수도 있죠.

23876_2788063_1746744678972374933.png

[출처]


게다가 이자 수익에 대한 세금도 없어요.

은행 예금 이자는 소득세법 16조에 따라 2,000만 원 이하 금액 15.4%(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로 분리과세

+ 초과분은 다른 소득과 합해 소득세율 6.6~49.5%까지 내야 하지만,,

암호화폐는 2027년까지 무과세


참고 기사

🔗암호화폐 과세 또 유예 향후 과제는…"제도적 허점 보완해야"


✔ 제한 X 규제 X

심지어 스테이블코인은 제한이나 규제도 없답니다.

000님께서 달러 투자를 하지 않으신다면 낯설게 느껴지실 텐데요. 달러에 투자하기 위해선 지켜야 할 사항이 꽤 많아요.

한국은 1997년 IMF 외환 위기의 아픈 역사를 가진 나라.

불과 두 달 만에 환율이 900원 → 2,000원까지 오르는 충격적 원화 약세 현상으로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었죠. 때문에 원화를 달러로 바꿔 송금한다면, 외국환관리법에 따라 정부 기관이나 은행 신고가 의무에요.


- 일정 금액 이상 외환 거래, 송금, 수신시 신고 땅

- 해외여행 시 1만 달러 이상 가져간다면 관세청 신고 후 '외국환신고필증’ 발급 땅

- 해외 유학 비용 송금 시 입학허가서, 재학증명서, 소득증명서 등 증빙서류 제출 땅

땅땅땅 지켜줘야 해요.


만약 어기면?

23876_2788063_1746744841503715987.png

[출처]

최소 1억 원 이하 벌금 최대 징역까지

23876_2788063_1746744874122178131.jpg

출처: 펭수

하지만 스테이블코인 거래는?

23876_2788063_1746744924559542304.png

업비트 테터 거래 [출처]


아직은 어떤 규제나 신고 의무가 없어요.


누구나 암호화폐 거래소에 원화(KRW)를 입금하고 테더를 살 수 있죠.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 거래소로 출금도 자유.

해외 거래소에서 국내 거래소로 입금도 자유.

입출금 속도도 며칠(영업일 기준 1~3일) 걸리는 은행에 비하면 사실상 실시간.


게다가 암호화폐 거래소 특성상 24시간 연중무휴. 은행이 쉬는 밤이나 공휴일에도 언제든 원할 때 하면 돼요. 환전 없이 바로 암호화폐를 사거나 결제에 쓸 수도 있는 유연성도 장점이랍니다.

23876_2788063_1746744971296209207.jpg

출처: 펭수


000님, 지금까지 장점 위주로만 설명 드렸는데요.

스테이블코인 투자 시 주의점도 있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엄연히 ‘암호화폐’예요.

따라서 암호화폐에 투자할 때의 위험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요.


👉🏻암호화폐 거래소는 은행과 달리 투자자 보호가 되지 않아요.

최악의 경우 거래소가 파산하면 보관 중인 스테이블코인 모두를 잃을 수 있어요.

👉🏻김치 프리미엄에 따라 투자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어요.

김치 프리미엄(Kimchi Premium)은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의 암호화폐 거래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높은 현상을 얘기해요. 김치(한국) + Premium(비싸다) ⇒ 흔히 김프

'김프' 자세한 설명은 지난 코넛

🔗이게 비즈니스지. 빨리 한국 보내자. 김프 오르는 '소리남'🤣 참고


스테이블코인에도 당연히 김프가 있어요.💸

23876_2788063_1746745213215919059.png

[테더 가격과 환율 비교]


5월 8일 20시 기준 1테더 가격은 1,409원. 1달러 환율은 1,395원인데요.

이론상 1 달러 = 1 테더 가격이 같아야 하지만 김프 때문에 14원 더 비싸죠?

환율 변동이 없어도 김프가 높을 때 매수하고 김프가 낮을 때 팔면 손해를 볼 수 있답니다. (물론, 반대 경우는 이익 😊)


👉🏻 악용하면 당연히 불법이에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달러 투자나 송금은 합법적인선에서만 합법.

자금 세탁, 해외 재산 은닉, 도박, 탈세를 목적으로 한 송금 등은 처벌돼요.


이번 이총재 이야기에 “한국도 어서 빨리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자!”라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하지만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나온다고 해도, 원화 약세의 흐름이 깨지지 않는 한 달러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변하지 않을테죠.


[원화 약세▶사람들의 마음이 달러로 기울어짐▶ 달러 투자의 더 효율적인 대안으로 스테이블코인이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고요. 스테이블코인이 환테크의 무풍지대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 것이랍니다. 포인트가 달라요!


과거에는 달러에 투자하려면 은행에 가서 외화 예금을 개설하거나 환전 수수료를 물고 직접 바꿔야 했지만, 클릭 몇 번이면 USDT, USDC 같은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와 같은 자산을 지갑에 저장할 수 있게 된 세상. 현실적 선택이지만, 무조건 안전한 대안은 아니랍니다.


스테이블코인에 투자하려면 정보력, 한국과 해외 거래소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 자기 책임의식까지 갖춰야 한다는 것. 000님은 꼭 기억해 주세요!

23876_1675315691.png?f8fmjo70?v3zk0n58
23876_2685843_1741310970971203833.png
 .... 쓰다 보니 안 짧은 한움큼 뉴스

🇬🇧 영국, "대출로 암호화폐 투자 금지, 추진할게!"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개인 투자자가 대출을 통해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제를 도입할 거래요. FCA 결제·디지털 금융 담당 이사 데이비드 게일은 '암호화폐 산업에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 소비자 보호가 부족한 고위험 투자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000님, 혹시 뜨끔하셨나요?
낄낄낄..
영국 영끌족은 이제 어쩌나. 

영국은 2022년에는 6%의 정도가 차입금으로 암호화폐에 투자했지만, 2024년에는 이 비율이 14%로 늘었다고 하고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지난해 30세 이하 가상자산 투자자 중 약 11%가 신용카드나 신용대출을 이용한 투자 경험이 있다고 밝혔어요. 

한국은 어떨까요? 서민금융진흥원 자료에서 청년 중 부채를 경험했거나 가진 사람은 37.9%이고요. 평균 부채는 6,987만원인데요. 세 번째를 차지한 항목이 주식과 코인 투자 관련 부채(1,855만원)랍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대출 받아 투자하는 듯 하죠? 

빚투금지 비트코인 과연,,,
23876_2788063_1746745869580156779.jpg

출처: [오늘의 짤방]


될까요?

23876_1675315737.png?byqlkpcb?dbmjwpfz?uvke1lpc?n99socm3

🚀 두바이 기업, "모히또 몰디브에 블록체인 금융 88억 달러 투자"


두바이 기반 MBS 글로벌 인베스트먼츠(MBS Global Investments)가 몰디브에 약 88억 달러(약 12조 원)를 투자해 암호화폐 중심 금융 허브를 세우는 계획을 발표했어요. 몰디브 수도 말레의 '몰디브 국제 금융 센터(Maldives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 MIFC)'로, 약 83만㎡ 부지에 만들어지고요. 거주자 6,500명과 일자리 16,000개 창출이 목표인 대형 프로젝트.


몰디브는 현재 국내총생산(GDP) 약 20%를 차지하는 관광 산업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경제 구조를 만들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2025년과 2026년 각각 6억~7억 달러 외채를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수익원 확보가 시급한가 봐요.


MIFC는 법인세와 상속세 면제, 거주 요건 없음 등 혜택을 주는 금융 자유 구역으로 디지털 자산, 핀테크, 환경보호 분야 기업 유치를 위해 달릴거래요. MBS 글로벌 인베스트먼츠는 이미 40~50억 달러의 투자를 확보했고, 앞으로 5년동안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


어느 순간부터 블록체인 기술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국가에 요긴한 전략이 된 것 같죠? 두바이도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기반으로 전세계 블록체인 산업 중심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두바이 기반 기업의 세계 확장 화력도 엄청나네요.


모히또에서 몰디브 한잔?

결제는 암호화폐로? ㄱㄱㄱ

23876_1675315737.png?byqlkpcb?dbmjwpfz?uvke1lpc?n99socm3?tyd8mbf9

🎬 넷플릭스 블랙미러, "우리 블록체인 플랫폼도 만들었어"


000님, 넷플릭스 시리즈 ‘블랙미러’ 보셨나요?

넷플릭스 『블랙 미러 (Black Mirror)』는 현대 기술 발전이 인간성과 사회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 SF인데요. 에피소드는 각각 독립적인 스토리로 짜여 있지만요. 공통으로 ‘기술은 진보하지만 인간은 그대로일 때 벌어지는 일’을 보여준답니다. 벌써 시즌 7까지 나왔더라고요.


📺블랙미러의 뜻은?

흔히 미디어를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표현 하는데요. '검은 거울'이란 전자기기를 껐을 때 검은 화면에는 보고 있던 사람 자신의 얼굴이 비친다는 점에서 만든 이름이라고.


❓ ‘AI’, ‘SNS’, ‘감시카메라’, ‘가상현실’ 등은 중립적 도구지만, 인간의 이기심, 욕망, 불안이 만나도 중립적일까

❓ 감정도, 기억도, 관계도 데이터화된다면? 인간다움이란 뭘까.

❓ 자발적으로 기기를 들고, 위치를 공유하고, 생각을 노출하는 현대인은 오히려 더 완벽히 통제 된다는 아이러니.


등등 디지털 문명의 그림자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에요.

이 '블랙 미러'가 웹3 프로젝트를 선보인다고 해요.

▶ 프로젝트 이름은 [Black Mirror Experience]


AI 기반 사회 평판 점수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해서 사용자 행동에 따라 보상을 주는 플랫폼인데요. AI 어시스턴트 '아이리스(Iris)'가 사용자 행동을 분석해 평판 점수를 매긴다고. 사용자의 온체인 활동(토큰 거래, NFT 수집)과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해서 계산한 대요. 높은 평판 점수를 가진 사용자는 토큰을 무료로 받거나, 블랙미러 스토리에 영향력을 가질 수도 있고요. 독점 콘텐츠에 대한 접근권도 생기고요.


이는 블랙 미러 전체 시리즈 중에서도 대표로 손꼽히는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사회를 비판한 - 노즈다이브 (Nosedive)]를 모티브로 한 것인데요. 이 에피소드는 모든 사람이 서로를 별점(1~5점)으로 평가하는 사회를 배경으로 해요.

사람의 신분, 주거, 직장, 심지어 항공권 좌석까지도 이 점수에 따라 결정되죠.


관심이 있으시다면 blackmirrorclub.com 또는 blackmirror.ultimet.io에 방문하셔서 이더리움 또는 솔라나 지갑과 소셜 미디어를 연결해서 참여할 수 있답니다. (현재까지 13,000개가 넘는 소셜 ID 카드가 만들어졌대요.)


코넛도 참여할거냐고요?

일단 이번 주말에 블랙미러 정주행 해보고요! 노즈다이브를 보고나면, 인스타 좋아요도 누르기 전에도 멈칫하게 된다던데…대놓고 평점 받는 플랫폼이라니…뭔가,, 좀,,

23876_2788063_1746746262784527013.jpg
23876_1675315737.png?byqlkpcb?dbmjwpfz?uvke1lpc?n99socm3?tyd8mbf9?vp7smosy

🚀이더리움, "팩트라(Pectra) 업그레이드 완!"


이더리움이 2022년 머지(Merge) 이후 최대 규모 업그레이드 펙트라(Pectra)를 성공적으로 마쳤어요. 이번 업그레이드도 역시나 속도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한 업그레이드. 특히, 스테이킹(예치) 한도가 32이더리움(ETH)에서 2,048이더리움(ETH)으로 늘어났는데요. 기존 대비 64배 늘어난 수치. 대형 스테이커의 참여가 가능해졌답니다. 


이더리움 재단은 “머지는 프로토콜을 위한 것이었고, 펙트라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며,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더리움이 한층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변신할거라고 설명했는데요. (암호화폐 시장 전체가 상승이긴 하지만) 5월 9일 오전 전날 대비 19%, 시원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그동안 기능 업데이트와 시세가 따로 놀아 투자자 마음을 아프게 했던 이더리움. 이제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 가격 업그레이드] 공식이 생기는 걸까요?

가가가 가즈아🚀

23876_1675315691.png?f8fmjo70?v3zk0n58?0fcv8w87
23876_1708040181.png
23876_2788063_1746746821584228128.PNG


지난주,

미국 뉴멕시코주 로스웰(Roswell)시의 비트코인 '전략적 준비자산(Strategic Reserve Asset)'으로 채택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벌써 두 번째 초스피드 채택이 이뤄졌네요.


💬전략적 준비자산(strategic reserve)

정부가 비상 상황이나 갑작스런 사건에 대비해 보유하는 자원. 흔히 금이나 외화 등이에요. Strategic Bitcoin Reserve = SBR은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자산으로 삼겠다는 것.


빨라요 빨라!!


🚀🎉 경 to the 축 🚀🎉


23876_1675315691.png?f8fmjo70?a1w3fkd7
23876_2757373_1744943500093674359.png
23876_2788063_1746747063517978629.gif


1000개의 드론으로 만든 비트코인 로고
비트코인 100,000 달러 돌파 추카추카추 🥳


23876_1663836158.png
23876_1675315691.png?f8fmjo70?cx118acb
💝 From. 코넛 

레터 쓰다 뒷북 '블랙미러'에 꽂힌 코넛.

외적 평판이 통제 수단이 되는 사회.
여기에 블록체인이 더해지면 수정도 불가능하겠죠?

디지털 계급화에 대한
깊 - 은 생각을 해보실 수 있을 거예요.


이번 주말은 너다, 블랙미러!

코넛이 만든,
퀴즈 풀면 코인 주는 찐 보상앱 코퀴즈
💸한 달 총상금 최대 1,000만원 + a💸

000님을 위한 럭키비키 룰렛 7개 준비했어요.
🎡🎡🎡🎡🎡🎡🎡
코퀴즈 앱에 들어가셔서 오른쪽 아래 ①번 [혜택] 칸을 누르시고
②번 [쿠폰] 칸에 입력하시면 돼요!
쿠폰 입력은 ~ 5월 16일까지.

000님의 쿠폰 코드는 [                ] 랍니다.
(코넛 뉴스레터 구독자 ONLY😉)

코퀴즈 다운링크 

23876_2243547_1718936649819930088.png
23876_1663836261.png

검색

  • 지난 코넛 보기
  • 코넛 스토리
  • 코넛 탄생기
  • 코넛 굿즈샵
코넛이랑 더 놀고 싶다면?
코퀴즈 코넛